*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주요 차이점
불교는 크게 대승불교(大乘佛敎, Mahayana)와 소승불교(小乘佛敎, Hinayana)로
나뉩니다. 두 종파는 교리, 수행 방식, 이상적 인간상, 포교 대상,
지역적 분포 등에서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입니다.
1. 명칭과 의미
대승불교는 ‘큰 수레’라는 뜻으로, 더 많은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소승불교는 ‘작은 수레’라는 뜻으로, 대승불교 측에서 기존의 보수적,
전통적 불교를 상대적으로 지칭하며 붙인 명칭입니다.
2. 이상적 인간상과 수행 목표
3. 포교 대상과 개방성
대승불교는 출가자뿐 아니라 재가자, 여성, 심지어 죄를 지은 사람까지도
성불할 수 있다고 보며, 불교의 대중화와 개방성을 강조합니다.
소승불교는 출가 수행자 중심이며, 스님만이 성불할 수 있다고 보는 경향이
강합니다. 사회와 분리된 엄격한 수행을 중시합니다.
4. 교리와 경전
5. 지역적 분포
대승불교는 중국, 한국, 일본, 티베트, 몽골 등 동북아시아와 북방 지역에
주로 분포합니다.
소승불교는 스리랑카, 태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와
남방 지역에 주로 분포합니다.
6. 기타 특징
대승불교는 보살의 육바라밀(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을 실천하며,
불상과 석탑 조성 등 상징적인 요소도 중시합니다.
소승불교는 난행고행(難行苦行. 깨달음을 업기위해 극한의 수행),
사무량심(자(慈), 비(悲), 희(喜), 사(捨)) 수행을 강조하며,
불상이나 탑보다는 계율과 수행 자체를 더 중시합니다.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가장 큰 차이는 ‘개방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승불교는 모두의 해탈을, 소승불교는 개인의 해탈을 우선시합니다.
그러나 두 종파 모두 부처님의 가르침을 근본으로 하며,
우열을 가릴 수 없는 각각의 전통과 가치가 있습니다.
'불교 사경 (Tablet) >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시 쉬어가면서~ #13. 업(業)과 고(苦) (0) | 2025.06.05 |
---|---|
금강경. 정종분(正宗分) (0) | 2025.06.03 |
잠시 쉬어가면서~ #11. 보시(布施) (0) | 2025.05.30 |
금강경(금강반야바라밀경) 주요내용 (0) | 2025.05.29 |
네번째 사경 “금강경(金剛經)”에 대하여~ (2) | 2025.05.27 |